작업기 workbench 628

1/72 B-29 은색 작업

한난츠 광택 알루미눔을 사용해서 은색 작업을 해봤다. 광은 매우 좋은데 색감이 가볍다. smp 크롬실버는 한번 뿌린 후 오버코팅을 하면 안되는데 이 한난츠 도료는 오버코팅을 하면서 광택을 맞춰가는 식이다. 두 도료 다 마찰, 수분, 유분 등에 모두 약하기 때문에 다음부턴 은색위에 하는 마감을 꼭 해야겠다. 엄청난 양의 지문을 볼 수 있다. 저걸 휴지로 문대서 지울 경우 은색이 살짝씩 계속 벗겨지기 때문에 매우 곤란. 광택 비교를 위해 출연한 나가토.. 광택은 이제 완벽히 낼 수 있는데 표면 오염은 아직 해결하지 못했다. 은색 위에 같은 락카계 유광마감은 표면을 망치기 때문에 불가.. 아무래도 우레탄코팅이 와야할 것 같다. 이 상태에서는 마크소프터도 못쓰기 때문에 데칼도 살살살 잘 붙여야 할듯;

작업기 workbench 2010.07.04

144 Tu-95 베어, 호넷

밑으로 미 함대가 지나가고 Tu95 베어가 강행정찰 나온 와중에 호넷이 요격하는 씬이다. 대충 구도만 잡아본 모습... 베어가 144스케일인데도 너무 커서 베이스에 안들어간다; 트럼페터 144 베어는 퍼티질이 별로 안들어갈 것 같으면서도 모든 접합선에 퍼티가 들어간다.. 게다가 내가 지문을 몇개 찍어서 일이 좀 커질듯; 가장 큰 특징인 이중반전이 아직이라 멋이 없다. 미 함대로 열연중인 2대전 미구축함들.. 1/2400스케일이다. 이 스케일에 현용함을 구하기 힘들어서 대충 아무거나 놨다. 디테일은 그럭저럭...

작업기 workbench 2010.07.04

b-29 광 완료

야간형이라 상면만 광을 내면 되기 때문에 금새 완료했다. 일본경기보면서 슬슬슬.. 보통은 굵은 콤파운드(빨간뚜껑)로 그냥 북북 밀어버리지만 다 떨어져서 중간거(파란뚜껑)으로 밀었더니 박힌 먼지가 잘 안떨어진다. 저번 XB-35처럼 열과 성을 다 쏟을 생각은 없기에 여기서 그만; 나중에 보면 좀 아쉽긴 할테지만 144배틀로 넘어가는게 더 중요한지라. 확대사진으로 보니 아직도 미진한 부분이보인다;; 검정색 고급세단 분위기의 유광검정을 은색으로 덮어버리는게 좀 아깝긴 하군.. 선물받은 독특한 맛의 초콜렛, 단맛을 잘 못느끼는 나에게 이런 강한 향의 물건이 맞는다.

작업기 workbench 2010.06.30

B-29 밑색칠

콤파운딩을 대충 끝낸 29에 smp유광검정을 올려줬다. smp유광검정이 냄새는 똥내가 나도 이런부분에서 확실하기 떄문에 믿음직하다. 집먼지 때문에 다시한번 콤파운딩의 필요가 있다; 날이 더운데 유광작업을 해서 그런가 반건조가 계속 나서 정말 고생했다. 다행히 검정칠할 떈 안나고 유광마감제만 나서 락카신나로 덧칠하니 사라는 수준.. 날개 뿌리 부근에 살짝 반건조가 보인다. 같은 뿌리인데 이부분은 아주 깔끔. 먼지만 밀어내면 되겠다. 손발퇴갤하는 72폭탄들; 이걸 폭격하는 모양으로 만들려고 어떻게 낚시줄로 꿰볼까 연구중이다. 한난츠 실험하려고 미리 칠해본 포탑 질감은 동일하지만 색감미 미묘하게 틀리기 때문에 패널변색으로 smp크롬실버와 섞어쓰는건 효과가 적고 이렇게 다른부품일 때 비로소 차이가 살짝 보일 것..

작업기 workbench 2010.06.28

광빨 은색 실험

여러가지 다른 은색으로 광빨 도장을 더 효과적이고 저렴하게 하기 위하여 여러 변수를 통제하며 실험을 해봤다. 기본적으로 smp 유광검정을 뿌리고 1 각종 마감제로 처리한 후 콤파운딩 살짝 해줬다. 2 그 후 다른 종류의 은색 도료를 뿌려준 상태. 금속판이 아니라 프라판이다.. 맨 왼쪽의 미술용 아크릴은 표면장력을 이기지 못하여 실험도중 탈락하고 그 자리에 자동차용 유광마감제가 대신했다. 왼쪽이 smp 수퍼 스텐레스 실버, 오른쪽이 크롬실버이다. 자동차 락카의 녹는 시간이 매우매우 길어서 지문이 찍혀버렸다. 사진을 3개 한꺼번에 찍어야 하는데 그만;; 각 설명은 써있는 바와 같다. 먼지는 가정집인 이상 어쩔수 없는 부분; 작품이 아니고 실험이라 콤파운딩을 대충해줬다. 이제부터 표면이 얼마나 고르고 반사가 ..

작업기 workbench 2010.06.28

도룡, 타이거캣 마지막 작업

마스킹졸에 뜯겨나간 도룡과 워싱중이던 타이거캣에 마무리를 줬다. 마감제는 안뿌리고 각각 무광/유광으로 붓작업을 해줬다. 캐노피는 마스킹을 막 뜯어낸 상태 짝튱 퓨쳐를 살살 바르고 콤파운딩을 해줬으나 애초에 칠할 때 락카에 먼지가 섞여들어간 관계로 먼지를 밀어내진 못했다. 멀리서보면 잘 안보이는 작은 먼지들이라 다행 ㅎㅎ 모양은 예쁘게 잘 나왔는데 마스킹 졸 뜯을 때 죽죽 뜯겨나가서 처참한 모습이 된 도룡. 원인은 서페이서 안올리고 바로 은색을 올려서 은색이 정착성이 약했던 것 같다. 지금은 대충 바예호 은색으로 칠해준 상태. 바람붓으로 낼 수 없는 위장무늬라 이렇게 해야하는데 뜯겨서 아쉽다. 타이거캣은 전체적으로 콤파운딩을 약하게 한번 해준 상태 니치모 도룡은 캐노피 투명도가 그닥 좋지 않다. 퓨처에 담..

작업기 workbench 2010.06.27

B-29 콤파운딩

평일에는 환풍기 틀고 바람붓질 할 시간이 안나기때문에 20~30분씩 조립을 주로 하는데 요즘은 이 콤파운딩에 시간이 잘 간다. 후후 광택. 이 부분도 성공 야간전용 B-29는 밑면이 무광검정이기 때문에 절반씩만 해주면된다. 내일 쯤 되면 작업이 다 끝날듯. 이것은 비밀병기 마루바닥 광택제 이걸 발라준 후 콤파운딩하면 수고가 훨씬 줄어든다. 방울진 곳은 다시 굵은 사포질을 해야 밀려나가는 단점을 아직 해결하지 못했지만 콤파운딩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었다. 캐노피는 원조 퓨처로 해결하고 다른 광택작업은 이걸로 할 생각. 저 위의 동체는 광택제 후 콤파운딩을 한 물건이고 날개는 그냥 해줬다.

작업기 workbench 2010.06.24

P-61, B-29 작업

오늘 날이 푹푹쪄서 외장 작업은 미루고 실내작업 중에 미군기 조립하던 것 2기를 몰아서 칠했다. 미군 실내색은 보통 아크릴로 부분도색하며 진행하는데 이번에는 엄청나게 큰지라;; 락카 바람붓질로 끝냈다. 작업은 조립2 워싱1을 합쳐 총 3기.. 전술했듯이 오늘처럼 덥고 습한날은 외장색칠은 자제하는게 좋다. 1/72 아카데미 B-29 그리 친절한 킷은 아니지만 그리 구리지도 않다. 일단 큰 크기로 먹고 들어가니까 ㅎㅎ 전면 캐노피가 거대해서 안쪽이 훤히 들여다보이기 때문에 신경써서 색칠해야 한다. 보통 채도가 높은 색으로 내부색을 칠하면 더 튀어보이는데 다행히 미군 실내색이나 징크로 어쩌고 하는 색은 매우 튀므로 따로 뭔가 더해 줄 필요가 없다. 바예호 아크릴 워시가 왜 허얘지는 지 모르겠군... 근데 뭐 ..

작업기 workbench 2010.06.13

타이거캣, 도룡 작업...

날이 좋아서 쌓아뒀던 물건들 몰아서 색칠했다. 실내온도가 확실히 30도를 넘어가면 비오는 날과 마찬가지로 색칠하기 안좋은 환경이 되지만 다행히 오늘은 집 안까지 30도를 넘진 않아서 다행이었다. 육군녹색 -> 마스킹졸 카이, 회백색을 뿌리고 뜯어준 결과. 아 좋지 않다- - 저 빈곳들은 나중에 세필로 은색으로 넣어줄까 아니면 녹색을 복원할까 고민중이다;; 마스킹졸 카이가 너무 세었던가 아니면 내가 세척을 게을리해서 그렇던가..... 타이거캣도 단숨에 데칼까지. 장판데칼 정말 끝내준다;; 한 일주일 정도 푸욱 담가주면 죽겠지. 일단 도룡도 데칼.. 실패한거 일일이 신경쓰면 내 인생동안 프라탑을 허물지 못하기 때문에 설렁설렁 간다. 데칼이 웬지 인비저클리어 분위기가 나던데 웬걸 접는 부분에서 쩌저적;; 다행..

작업기 workbench 2010.06.07

XB-35 은색 작업

매일 조금씩 진행한 콤파운딩을 끝내고 퐁퐁세척을 해줬다. 색칠하기전에 미리 심을 박아야 쥘 곳도 생기고 구멍 뚫기에도 안전하다. 광은 이정도... coarse 만으로 했기 때문에 아직 상처들이 보이지만 유광검정 덮고 어쩌고 하면 안보인다. SMP유광검정 - 유광검정에 불순물이 많아서 다시 콤파운딩; - 그 후 SMP 크롬실버로 칠해준 상태다. 예전 미그21과 다르게 광이 훨씬 잘 살았다. 패널 변화를 준 상태. 변화 정도는 유치하지 않게 살짝살짝. 이럴 때 군제 특색이 매우 좋다. 좀 과하다 싶으면 휴지로 지워서 그럴듯한 웨더링이 되기 때문이다. 접착제가 새어나지 않게 덜덜 떨며 캐노피 고정; 나름 웨더링;; 이거말고 이것저것 시도해봤는데 무서워서 과감하게 하진 못했다. 형광등만으로는 광이 어느정도인지 ..

작업기 workbench 2010.06.06